📙
Daeun's devlogs
  • First page
  • Docker
    • 이미지, 레이어
    • 컨테이너 생성하기
    • Dockerfile로 이미지 생성하기
    • 이미지를 dockerhub repo에 push하기
  • Python
  • Algorithm Study
  • 방향없는 그래프(undirected graph)
  • 방향있는 그래프(directed graph)
  • 위상 정렬(topological sort)
  • BFS(Breadth-First Search)
  • 다익스트라(Dijkstra)
  • 벨만-포드(Bellman-Ford) 알고리즘
  • 최소신장트리(Minimum Spanning Tree)
  • 크루스칼(Kruskal) 알고리즘
  • Algorithm quiz
    • quizzes & solutions
    • graph에서 cycle 유무 확인하기
    • bipartite(이분그래프) 확인하기
    • Dijkstra 알고리즘으로 모든 정점으로의 최단 경로 구하기
  • operating system
  • 스루풋 & 레이턴시
  • Cloud Computing
    • cloud computing 의 종류
    • CloudFormation으로 EC2 & ElasticIP 생성하기
  • Network
    • DataLink 계층
    • Network 계층
    • subnetting & CIDR
    • Domain Name System
    • Transport 계층
  • Unix
    • dig 커맨드로 DNS서버에 질의하기
    • APT(Advanced Package Tool)로 젠킨스 설치하기
    • usermod 로 그룹에 유저 추가하기
    • sysctl 로 커널 변수 조회하기
  • Django
    • 마이그레이션 실행여부 확인하기
    • 마이그레이션 DDL 쿼리 확인하기
  • Kubernetes
  • 쿠버네티스(Kubernetes) 개념
  • k8s 클러스터에 애플리케이션 서버 실행하기
  • kops로 AWS에 k8s 클러스터 생성하기
  • k8s 클러스터에 replicaset 생성하기
  • Nginx & WSGI pod를 service로 노출하기
  • Helm으로 쿠버네티스 리소스 배포하기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 DataLink layer
  • DataLink 계층의 데이터 통신 단위 - 프레임(Frame)
  • MAC(Media Access Control)주소
  • 단말 간 프레임이 전달될 때 - uni/multi/broadcast

Was this helpful?

  1. Network

DataLink 계층

Physical 계층 위에 있는 DataLink 계층에 대해 알아보자

PreviousCloudFormation으로 EC2 & ElasticIP 생성하기NextNetwork 계층

Last updated 5 years ago

Was this helpful?

DataLink layer

  • 맨 아래 계층인 Physical 계층 위에서 동작하는 계층으로, MAC주소로 단말들을 식별한다.

  • LAN(Local Area Network) 내에서 단말 간 통신이 이뤄진다.

  • 로 단말 간 통신이 이뤄진다.

  • Ethernet 프로토콜의 데이터 송/수신 단위: 프레임(Frame)

  • 스위치(Switch)라는 장치가 Ethernet 프로토콜로 송/수신 되는 데이터를 중개한다.

DataLink 계층의 데이터 통신 단위 - 프레임(Frame)

이름

역할

Preamable(전문)

새로운 이더넷 프레임의 시작을 구분한다.

Destination MAC

종착 단말의 MAC 주소

Source MAC

시작 단말의 MAC 주소

Payload

전송되는 데이터의 실제 내용. 바로 위 계층인 Network layer의 IP헤더가 DataLink 계층의 payload에 포함된다.

Frame Check Sequence(FCS)

수신 단말에서 수신 도중 에러가 있을 경우 이를 식별한다.

Interpacket gap

수신 단말에서 프레임 수신을 종료하는 데까지 필요한 시간을 명시한다.

MAC(Media Access Control)주소

  • DataLink 계층의 Ethernet 프로토콜에서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 부여되는 주소.

  • 하드웨어(기기)에 부여된다.

  • Ethernet 하드웨어 주소라고도 불린다.

  • 48비트(6바이트)로 구성되고, 각 바이트는 16진수로 이뤄진다. ( = 1 octet)

  • 앞에서 세번째까지의 octet은 OUI(Organizationally Unique Identifier, 주소를 발행한 조직을 식별하는 것)로 쓰인다.

단말 간 프레임이 전달될 때 - uni/multi/broadcast

unicast

  • 하나의 단말에서 LAN내부에 있는 다른 하나의 단말로 Ethernet 프레임이 전달된다.

  • 이더넷 프레임에 종착 단말의 MAC주소를 명시할 때 1번째 옥텟의 LSB(Least Significant Bit)가 0일 경우, 유니캐스트로 전송되어야 함을 뜻한다.

multicast

  • 하나의 단말에서 LAN내부에 있는 여러 단말로 Ethernet 프레임이 전달된다.

  • 이더넷 프레임에 종착 단말의 MAC주소를 명시할 때 1번째 옥텟의 LSB(Least Significant Bit)가 1일 경우, 멀티캐스트로 전송되어야 함을 뜻한다.

broadcast

  • 하나의 단말에서 LAN내부에 있는 모든 단말에게 Ethernet 프레임이 전달된다.

  • 이더넷 프레임에 종착 단말들의 MAC주소를 명시할 때 MAC주소가 FF.FF.FF.FF.FF.FF인 경우, 브로드캐스트로 전송되어야 함을 뜻한다.

인터넷으로 데이터를 내보낼 때에는 destination MAC 주소를 의 MAC 주소로 설정한다.

이미지 출처:

라우터
udacity.com
Ethernet 프로토콜
프레임의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