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eun's devlogs
  • First page
  • Docker
    • 이미지, 레이어
    • 컨테이너 생성하기
    • Dockerfile로 이미지 생성하기
    • 이미지를 dockerhub repo에 push하기
  • Python
  • Algorithm Study
  • 방향없는 그래프(undirected graph)
  • 방향있는 그래프(directed graph)
  • 위상 정렬(topological sort)
  • BFS(Breadth-First Search)
  • 다익스트라(Dijkstra)
  • 벨만-포드(Bellman-Ford) 알고리즘
  • 최소신장트리(Minimum Spanning Tree)
  • 크루스칼(Kruskal) 알고리즘
  • Algorithm quiz
    • quizzes & solutions
    • graph에서 cycle 유무 확인하기
    • bipartite(이분그래프) 확인하기
    • Dijkstra 알고리즘으로 모든 정점으로의 최단 경로 구하기
  • operating system
  • 스루풋 & 레이턴시
  • Cloud Computing
    • cloud computing 의 종류
    • CloudFormation으로 EC2 & ElasticIP 생성하기
  • Network
    • DataLink 계층
    • Network 계층
    • subnetting & CIDR
    • Domain Name System
    • Transport 계층
  • Unix
    • dig 커맨드로 DNS서버에 질의하기
    • APT(Advanced Package Tool)로 젠킨스 설치하기
    • usermod 로 그룹에 유저 추가하기
    • sysctl 로 커널 변수 조회하기
  • Django
    • 마이그레이션 실행여부 확인하기
    • 마이그레이션 DDL 쿼리 확인하기
  • Kubernetes
  • 쿠버네티스(Kubernetes) 개념
  • k8s 클러스터에 애플리케이션 서버 실행하기
  • kops로 AWS에 k8s 클러스터 생성하기
  • k8s 클러스터에 replicaset 생성하기
  • Nginx & WSGI pod를 service로 노출하기
  • Helm으로 쿠버네티스 리소스 배포하기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Was this helpful?

  1. Unix

dig 커맨드로 DNS서버에 질의하기

  • 1차 수정일 [2020.01.19] - 작업 환경 명시

작업 환경 : macOS High Sierra

DIG(Domain Information Groper)는 DNS서버에 질의하는 데 쓰는 명령어다. 용법은 아래와 같다.

$ dig <도메인주소> <options>

$ dig gitbook.io를 실행해보겠다.

kde6260@ubuntu-LTS:~$ dig gitbook.io

; <<>> DiG 9.10.3-P4-Ubuntu <<>> gitbook.io
;; global options: +cmd
;; Got answer:
;; ->>HEADER<<- opcode: QUERY, status: NOERROR, id: 17437
;; flags: qr rd ra; QUERY: 1, ANSWER: 2, AUTHORITY: 2, ADDITIONAL: 5

;; OPT PSEUDOSECTION:
; EDNS: version: 0, flags:; udp: 4096
;; QUESTION SECTION:
;gitbook.io.			IN	A

;; ANSWER SECTION:
gitbook.io.		300	IN	A	104.26.7.205
gitbook.io.		300	IN	A	104.26.6.205

;; AUTHORITY SECTION:
gitbook.io.		52370	IN	NS	hugh.ns.cloudflare.com.
gitbook.io.		52370	IN	NS	dahlia.ns.cloudflare.com.

;; ADDITIONAL SECTION:
hugh.ns.cloudflare.com.	50083	IN	A	173.245.59.117
dahlia.ns.cloudflare.com. 50082	IN	A	173.245.58.89
hugh.ns.cloudflare.com.	50083	IN	AAAA	2400:cb00:2049:1::adf5:3b75
dahlia.ns.cloudflare.com. 50082	IN	AAAA	2400:cb00:2049:1::adf5:3a59

;; Query time: 234 msec
;; SERVER: 127.0.1.1#53(127.0.1.1)
;; WHEN: Wed Dec 04 19:10:27 KST 2019
;; MSG SIZE  rcvd: 216

ANSWER SECTION : 질의한 레코드 타입이 A여서 gitbook.io로 호스팅하는 서버의 IP주소를 응답했다.

AUTHORITY SECTION : 어떤 DNS서버가 실제로 gitbook.io의 IP주소를 레코드로 가지고 있는지 나타낸다. 레코드 타입이 NS인 걸 보면 알 수 있다.

ADDITIONAL SECTION : AUTHORITY SECTION에 있는 DNS서버의 IPv4 주소와 IPv6 주소가 나타나있다.

'다 필요없고 ANSWER SECTION만 알고싶다!' 라면 +short 옵션을 주면 된다.

$ dig gitbook.io +short
104.26.7.205
104.26.6.205

gitbook.io의 원래 도메인주소 또는 상위 도메인을 알고싶다면 주소 뒤에 레코드 타입을 옵션으로 준다.

$ dig www.gitbook.io CNAME +short
www.gitbook.com.

www.gitbook.com뒤에 .이 붙는 걸 볼 수 있는데 루트도메인을 뜻한다.

PreviousTransport 계층NextAPT(Advanced Package Tool)로 젠킨스 설치하기

Last updated 5 years ago

Was this helpful?

QUESTION SECTION : DNS에 요청된 메세지를 나타낸다. A타입이 디폴트로 잡혔다. (레코드 타입에 대한 설명은 를 참고.)

출처 :

여기
https://www.tecmint.com/10-linux-dig-domain-information-groper-commands-to-query-dns/